
안녕하세요 무무쓰입니다.
오늘 이 시간에는 앞으로 기초 회로 이론을 위한 목차를 정리하는 글을 쓰겠습니다.
이 게시글의 주 타겟층은 전기, 전자관련 기능사, 산업기사를 준비하는 사람입니다.
그래서 전기와 전자회로를 처음 공부하는 사람들의 수준으로 작성할 계획입니다.
1. 회로이론의 기초
- 회로 구성 설명
- 직렬연결과 병렬연결
- 기호 [V]의 용어 정리
- 옴의 법칙의 이해
2. 회로이론의 첫걸음
- 키르히호프의 제1법칙(전류법칙)
- 키르히호프의 제2법칙(전압법칙)
- 접지의 중요성
- 전압원, 전류원의 개념
3. 회로이론을 직접 해보자
- 노드 해석법
- 매시 해석법
- 델타-Y 저항 해석 방법
- 개회로 폐회로의 개념
4. 회로이론을 응용해 보자
- 테브난의 정리
- 노튼의 정리
- 테브난, 노튼 정리 비교 예제
- 중첩의 정리
- 종합 예제
배울 내용 정리
1에서는 회로의 기초 요소들을 배울 것입니다.
기호, 옴의 법칙, 직렬 병렬연결을 먼저 배워 회로 해석 전에 필요한 개념들을 탑재할 예정입니다.
1에서 주목할만한 점은 바로 기호 [V]의 설명입니다.
기전력, 전압, 전위차, 전위를 전부 V라고 표현하는 것을 보고 충격에 빠졌습니다.
기호는 같은데 부르는 게 몇 가지나 있는 건지 배울 당시에는 너무나 어려웠습니다.
확실한 용어 정리를 통해 제가 겪었던 혼란을 겪지 않으시길 바랍니다.
2에서는 키르히호프 1, 2법칙을 배울 것입니다.
2에서는 해석보단 '개념'에 무게를 두어 설명하겠습니다.
1과 2에서 배운 것을 적절히 합쳐야 '해석'이 가능한 노드, 메시 해석법을 배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중 접지 파트는 특히나 지인들에게 질문을 많이 받던 부분입니다. 접지는 정의만 보면 간단합니다.
하지만 정작 회로에서 만나면 가장 헷갈리는 친구 중 하나입니다.
다음 접지 포스팅을 계기로 확실하게 접지의 개념을 잡아갔으면 좋겠습니다.
3에서는 본격적인 회로해석을 시작해 보겠습니다.
노드와 매시는 어렵기만 했던 회로를 해체시킬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저 같은 경우는 노드를 평소에 더 자주 사용하는 편입니다.
노드와 매시는 결국 결괏값이 같기 때문에 하나만 쓰다 보니 익숙해졌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회로가 복잡하다면 둘 다 해보면서 크로스체킹을 합니다.
둘 다 알아야 회로 해석이 어려워져도 대응할 수 있을 것입니다.
4에서는 복잡한 회로를 간단하게 만드는 정리들을 배워보겠습니다.
테브난과 중첩을 주로 정리할 예정입니다. 복잡한 회로는 특히나 형체부터 끔찍합니다.
전류원은 어떻게 생각해야 할지 감도 안 잡힐 예정입니다. 그래도 원리만큼은 기초이론 때에도 배워야 합니다.
마지막 예제에서는 괴물스러운 회로 몇 가지를 해체하는 행사를 개최하겠습니다.
처음에는 어렵게만 느껴졌던 회로들이 4단원까지 공부했으면 다르게 보일 것입니다.
맺음말
이 글을 전부 읽고 회로를 혼자 해석하실 수 있으면 기초 커리큘럼을 성공적으로 마친 것입니다.
대부분의 기초 커리큘럼은 공부과정에서 지인들이 물어봤던 요소들 위주로 짜였습니다.
응용 커리큘럼은 아직 기획 중입니다. 기초 커리큘럼을 포스팅하면서 가다듬겠습니다.
회로를 해석하기 위함이기 때문에 소자, 용량 공식 같은 부분들은 기초 편에서는 포스팅하지 않겠습니다.
앞으로 설명에 모르는 것이 있으면 각 포스팅의 댓글에 질문해 주시면 됩니다.
다음 포스팅에서 뵙겠습니다.
'회로이론 > 처음해보는 회로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 회로 이론 5. 전압은 병렬, 전류는 직렬일 때 값이 같다 (0) | 2023.03.12 |
---|---|
기초 회로 이론 4. 용어 정리(전위, 전위차, 전압, 기전력, 전압강하) (0) | 2023.03.12 |
기초 회로 이론 3. 옴의 법칙(feat. 전류의 보충설명) (0) | 2023.03.11 |
기초 회로 이론 2. 저항의 직렬, 병렬연결 정의와 기호(예제 포함) (0) | 2023.03.10 |
기초 회로 이론 1. 회로의 구성 요소 (2) | 2023.03.08 |
댓글